하임리히법은 기도가 막힌 응급 상황에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중요한 응급처치 방법입니다. 음식물이나 이물질로 인해 호흡이 어려운 경우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며, 특히 어린이와 노인에게서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임리히법의 정확한 시행 방법과 상황별 대처법을 알아두면, 위급한 순간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하임리히법의 정의, 응급처치 순서, 가슴 압박법까지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하임리히법이란? 정의와 원리
하임리히법(Heimlich Maneuver)은 기도가 이물질로 막혀 호흡이 불가능한 경우 복부를 압박하여 공기압을 이용해 막힌 물체를 제거하는 응급처치법입니다. 1974년 헨리 하임리히 박사에 의해 개발된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기도 폐쇄 응급처치로 자리 잡았습니다. 성인, 어린이, 영유아에게 각각 적용하는 방법이 다르므로 올바른 시행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임리히법의 원리

- 복부 압박을 통해 횡격막을 강하게 밀어올려 폐에서 공기를 배출
- 공기압을 이용하여 기도를 막고 있는 이물질을 배출
- 빠른 시행이 중요한 응급처치법으로, 시간이 지체되면 질식 위험 증가
아래 버튼을 눌러보세요!
하임리히법 시행 방법 (성인 및 어린이)
성인과 어린이의 경우 하임리히법을 적용하는 방식이 유사하지만, 정확한 위치와 압박 강도를 조절해야 합니다. 의식이 있는 상태와 없는 상태에 따라 다르게 시행해야 합니다.
성인과 어린이 대상 하임리히법

- 환자의 뒤에서 팔을 감싸고 한 손을 주먹 쥔 상태로 배꼽 위, 명치 아래에 위치
- 다른 손으로 주먹 쥔 손을 감싸고 강하게 위쪽으로 압박
- 이물질이 배출될 때까지 반복
- 의식이 없는 경우 즉시 심폐소생술(CPR) 병행
영유아에게 적용하는 하임리히법
영유아의 경우 성인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면 내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신중해야 합니다. 만 1세 미만 영아는 복부 압박 대신 등에 충격을 가하는 방식으로 기도 폐쇄를 해소합니다.
영유아 하임리히법 시행 방법

- 영아를 손목과 팔뚝 위에 엎드린 상태로 고정
- 머리를 몸보다 낮게 유지하고 등을 5회 강하게 두드림
-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으면, 아이를 뒤집어 가슴을 5회 압박
- 반복 시행 후에도 배출되지 않으면 즉시 119 신고
질식 응급처치 순서
질식 상황에서는 신속한 대처가 필수적이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응급처치를 시행해야 합니다. 특히, 환자가 의식을 잃거나 반응이 없는 경우 즉각적인 CPR이 필요합니다.
질식 응급처치 단계

- 환자 상태 확인: 말을 못하거나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는지 확인
- 하임리히법 시행: 기도가 완전히 막힌 경우 즉시 복부 압박
- 반응이 없는 경우: 즉시 바닥에 눕히고 가슴 압박 시행
- 119 신고: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고 구조대 도착 전까지 처치 지속
가슴 압박법과 심폐소생술(CPR)
하임리히법으로 기도 폐쇄가 해결되지 않거나 환자가 의식을 잃은 경우, 즉시 심폐소생술(CPR)을 시행해야 합니다. CPR은 심장과 폐의 기능을 보조하여 산소 공급을 유지하는 중요한 응급처치입니다.
가슴 압박법 시행 방법
- 환자를 평평한 곳에 눕힘
- 가슴 중앙(흉골 부위)에 손바닥을 겹쳐 놓고 강하고 빠르게 압박
- 압박 깊이는 성인 5~6cm, 어린이 4~5cm로 유지
- 분당 100~120회 속도로 압박을 지속
- 의료진이 도착할 때까지 CPR을 지속
아래 버튼을 눌러보세요!
하임리히법 숙지가 중요한 이유
하임리히법은 응급 상황에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중요한 기술로, 이를 숙지하면 가족과 주변 사람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식사 중 발생하는 기도 폐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음식을 천천히 씹고, 어린아이의 경우 작은 크기로 잘라 제공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응급처치법을 미리 익혀두고, 위급한 순간 당황하지 않고 대응할 수 있도록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